출처는 https://velopert.com/3621
-글을 시작하기에 앞서, 본 포스팅은 정보성보단 기록용 성질이 강한 글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....-
react 프레임워크를 학습하기 전, 거쳐야하는 단계 개발환경 세팅!
react.js는 자바스크립트 기반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, node.js를 설치해줘야한당.
node.js는 ?? -> 나중에 적어야지
node.js를 설치하면서 npm이 자동으로 설치되긴 하는데,
react.js 개발환경을 세팅할 때는 좀 더 개선된 자바스크립트 기반 패키지 매니저 도구로 Yarn을 설치해야한다.
설치해보잣
https://yarnpkg.com/en/docs/install#mac-stable
를 들어가면

이 화면이 뜬다 신기하게 자동으로 macOS로 설정이 됌 ㅎㅎ
version은 뭔지 모르겠으니 나중에 알아보는걸로 하고^^

우선 보니깐... 터미널에 무작정 brew install yarn을 입력하니깐
명령어가 안먹고 뭘 깔라고 나온다. 앱스토어에서 명령어 입력기 깔라고 자동으로 띄어주길래 깔아주고..
눈치상 homebrew package manager를 클릭해야할 것 같아서 클릭하고 들어가니
https://brew.sh/index_ko 사이트가 떴다.

터미널에 붙여넣기 하라 해서 말 잘들었음 ^^
붙여넣으니깐 패스워드 입력하라 해서 무슨 패스워드? 이러고 있었는데 내 맥북계정 패스워드였당.
입력하고 나니깐 설치가 됌

그러고나서 ~_~
터미널을 켜서
brew install yarn
입력하면 설치된당!!
-끝-